림프라는 말을 참 많이 합니다. 림프 순환, 림프 순환 마사지, 림프계 질환 등등 언급을 많이 하는데 과연 림프란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림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림프란?
산소와 영양소 등을 포함한 혈액은 좌심실에서 동맥을 지나가게 됩니다. 동맥은 여러 갈래로 갈려 모세혈관이 되고, 모세혈관 벽에서 혈액에 함유된 수분이나 산소, 영양소 같은 물질이 혈관 밖으로 나가게 됩니다. 혈관 밖에는 조직을 만드는 세포가 모여 있는데, 그 세포와 세포 사이에 있는 세포외액으로 유입되는 것입니다.
세포외액과 세포 사이에엇 물질대사가 이루어지고, 세포외액 안에 있는 이산화탄소나 노폐물, 불필요한 수분이 모세혈관으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정맥을 지나 심장을 돌아가게 되는데 이때 세포외액에서 모세혈관으로 돌아가는 것은 약 90%이며 약 10%는 모세 림프관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세포외액에서 모세 림프관으로 들어간 약 10%의 액체가 바로 림프 또는 림프액이라 부릅니다.
림프계는 얼마나 될까?
림프가 유입하는 모세림프관은 혈관계에 속하며 동맥이 여러 개로 갈려 모세혈관이 되는 것과 달리 막힌 관에서 시작됩니다. 그러나 모세혈관이 모임 정맥이 혈액을 운반하는 것처럼 모세 림프관이 모인 림프관이 림프를 운반합니다.
혈관계에 속하는 정맥은 상반신으로부터 혈액을 모아 옮기는 상대정맥과 하반신으로부터 혈액을 모아 옮기는 하대정맥, 이 2가지 계통으로 구성되며 심장으로 돌아갑니다. 한편 림프계의 림프관도 오른쪽 상반신의 림프액이 모이는 우림프본간과 왼쪽 상반신 및 하반신 전체의 림프액이 모이는 흉관의 2 계통으로 나뉘게 됩니다.
림프의 최종 목적지는 어디일까?
정맥계의 상대정맥과 해대정맥은 각각 우심방으로 연결되어 혈액을 심장으로 돌려보냅니다. 그런데 사실은 림프의 목적지도 심장입니다. 림프계의 계통 중 우림프본간은 우정맥각에서 정맥으로 합류하고, 흉관은 좌정맥각에서 정맥으로 합류합니다.
상대정맥은 주로 두경부와 팔의 정맥들이 모인 정맥인데 오른쪽 완두정맥과 왼쪽 완두정맥이 합쳐져서 형성됩니다. 좌완두정맥은 두경부 오른쪽으로부터 시작된 우내경정맥과 왼쪽 팔에서 시작된 우쇄골하정맥이 합쳐져서 형성되며, 그렇게 형성된 합류부를 우정맥각이라고 합니다. 이 좌우의 정맥각에 림프관의 본관이 합류하여 림프액이 정맥의 혈액에 유입되고 심장으로 향하게 되는 것입니다.
림프구는 혈액 성분일까?
그렇습니다. 체내에 침입한 세균이나 독소, 암세포 등 유해물질에 대항하는 시스템을 면역이라고 합니다. 면역을 담당하는 것이 림프절에 상주하는 림프구입니다. 혈관 안에 돌아오는 세포외액 중 약 10%는 림프관에 들어가 림프액이 됩니다. 세포외액이 혈액에서 왔기 때문에 림프액도 혈액에서 온 것이 됩니다.
혈액은 액체이지만 고형 성분도 들어 있습니다. 혈액의 45%를 차지하는 혈구(적혈구와 백혈구)가 바로 고형 성분입니다.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하고 백혈구는 체내에 침입한 세균을 죽입니다. 백혈구는 과립구와 림프구, 단핵구로 구성된빈다. 즉 면역을 담당하는 림프구는 백혈구의 일부이므로 혈액 성분이라는 말이 됩니다.
더불어 림프의 위치는 특정한 곳에 있다기 보다 우리 신체 전반에 다 퍼져 있다고 보면 됩니다. 다만 림프절이라고 해서 림프구들이 많이 모여 있는 림프 조직이 있는데 이 림프절은 목이나 서혜부, 겨드랑이와 같은 부위에 좀 더 많이 밀집되어 있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부 희귀병 수포성 표피박리증 (0) | 2022.12.07 |
---|---|
정맥(심혈관계)의 노화 (0) | 2022.12.01 |
남성형 탈모의 원인과 자가진단 (0) | 2022.11.24 |
여드름이 악화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0) | 2022.11.16 |
귀반사구는 무엇이며 효과가 있는 것인가? (0) | 2022.11.13 |
댓글